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미얀마 지진 피해상황 및 지진에 대한 이해

by mr2bbuni 2025. 3. 29.
반응형

1. 미얀마 지진 – 피해 상황

  • 발생 일시: 2025년 3월 28일
  • 발생 지역: 미얀마 중부 만달레이(Mandalay) 인근 지역
  • 지진 규모: 규모(Magnitude) 7.7의 강진
  • 피해 현황 (2025년 3월 29일 기준):
    • 사망자: 1,002명 이상
    • 부상자: 약 2,376명
    • 실종자: 30명 이상
    • 건물 붕괴 및 파손: 다수의 건물 붕괴, 도로와 교량 파괴 등 인프라 심각한 피해
    • 인근 국가 피해:
      • 태국 방콕에서는 건설 중이던 30층 건물이 붕괴됨
      • 사망자 6명, 부상자 26명, 실종자 47명 보고됨
  • 대응 상황:
    • 중국, 인도, 러시아, 한국, 미국 등에서 구조대 및 구호물자 파견
    • 의료 지원, 텐트, 식량, 식수, 담요 등 긴급 구호가 이뤄지고 있음
    • UN과 국제적십자도 구호 작업에 참여

 

 

📌 1. 지진이란?

지진(地震, Earthquake)은 지구 내부의 에너지가 갑작스럽게 방출되면서 지각이 흔들리는 현상입니다. 이는 대부분 지각판(tectonic plate) 의 움직임 때문에 발생하며, 짧은 시간 안에 강력한 에너지가 지표면으로 전달되어 땅이 흔들리고, 건물이 무너지고, 생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
📌 2. 지진의 발생 원리

✔️ 지구 내부 구조와 관련

지구는 여러 겹의 층(지각, 맨틀, 외핵, 내핵)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그 중 지각은 여러 개의 커다란 판(tectonic plates)으로 나뉘어 있습니다. 이 판들은 다음과 같이 서로 상호작용합니다:

                 판의 경계 종류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설명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예시

          

수렴 경계 (충돌) 두 판이 서로 충돌 히말라야 산맥 형성
발산 경계 (벌어짐) 두 판이 서로 멀어짐 대서양 중앙 해령
변환 경계 (미끄러짐) 두 판이 서로 엇갈리게 이동 샌안드레아스 단층 (미국 캘리포니아)

이런 판의 움직임으로 인해 단층(fault) 이 생기고, 응력이 한계치를 넘어가면 지각이 갑자기 움직이게 되는데, 이때 축적된 에너지가 지진파로 방출되어 지진이 발생합니다.

 


📌 3. 지진의 구성 요소 및 용어 정리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용어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의미

 

진원(Focus) 지진이 발생한 지하 지점
진앙(Epicenter) 진원 바로 위의 지표면 지점
지진파(Seismic wave) 지진이 발생할 때 방출되는 에너지 파동
P파(Primary wave) 가장 먼저 도달하는 지진파, 속도가 빠름, 압축-팽창 운동
S파(Secondary wave) P파 다음 도달, 속도 느림, 수직/수평 흔들림 발생
표면파(Surface wave) 지표면을 따라 퍼지며 큰 피해를 줌
규모(Magnitude) 지진이 방출한 에너지의 절대적인 크기 (리히터 규모 등)
진도(Intensity) 특정 지역에서 느껴지는 지진의 체감 세기 및 피해 정도

📌 4. 지진의 규모(Magnitude)와 진도(Intensity)

✔️ 규모 (Magnitude)

  • 리히터 규모(Magnitude)는 지진의 에너지 크기를 수치로 나타낸 것입니다.
  • 1 증가할 때마다 약 32배의 에너지 증가
      규모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설명

  

2.0 이하 대부분 느낄 수 없음
3.0~4.0 약하게 흔들림, 일부 사람만 느낌
5.0~6.0 건물 일부 피해 가능
6.0~7.0 심각한 피해 가능
7.0 이상 매우 큰 피해 유발, 재난 수준

✔️ 진도 (Intensity)

  • 어디서 얼마나 흔들렸는지를 표현하는 척도
  • 나라에 따라 등급 다름 (한국: 0Ⅸ, 일본: 07)

예: 규모 6.0의 지진이라도 진원이 깊거나 인구 없는 지역이면 피해 적음. 반대로 얕고 도시 지역이면 피해 큼.


📌 5. 지진의 피해와 영향

✔️ 피해 유형

  • 인명 피해: 사망, 부상, 실종
  • 재산 피해: 건물 붕괴, 도로·교량 파괴
  • 2차 재해: 화재, 산사태, 쓰나미
  • 심리적 영향: 외상 후 스트레스, 공황 등

✔️ 영향 요인

  • 진원의 깊이 (얕을수록 피해 큼)
  • 인구 밀집도
  • 건물의 내진 설계 여부
  • 지반 구조 (연약지반은 흔들림 더 큼)
  • 발생 시간 (야간이면 대피 어려움)

📌 6. 지진에 대비하는 방법

✔️ 평소 준비

  • 내진 설계 건물 확보
  • 비상용품 준비 (물, 손전등, 휴대용 라디오, 응급약 등)
  • 대피 경로 숙지

✔️ 발생 시 행동

  • 책상 아래 몸 숨기기
  • 엘리베이터 사용 금지
  • 가스 밸브 차단
  • 실내 출구 확보 후 대피
반응형